[결과보도] 서울시 어린이집 특별활동의 비용 상한제, 교과목 금지 등 문제 개선 촉구...(8단체 연대)
■ 서울시 어린이집 특별활동의 문제 개선을 촉구하는 8개 시민·보육 단체 연대 토론회·기자회견 결과보도(2014.12.17.) “서울시는 어린이집의 교과목 특별활동을 금지하고, 특별활동비 일괄 상한제를 실시하라!” ▲공공운수노조보육협의회, 공동육아와공동체교육,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서울보육포럼, 수도권생태유아공동체, 어린이문화연대, 전국장애아동지원교사협회, 참보육을위한부모연대(가나다순) 등 8개 시민·보육단체는 서울시 어린이집 특별활동의 현황과 문제를 살피고 문제 개선을 촉구하는 토론회를 12월 4일에 실시함. ▲어린이집 특별활동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운영 과목이 영어에 편중되어 누리과정의 취지에 맞지 않으며 영유아의 전인발달과 거리가 멀었음. ▲또한 추가비용이 발생하게 만들어 무상보육의 취지를 살리지 ..
더보기
[예고보도] 12/11(목) : 서울시 어린이집 특별활동의 문제 개선 촉구 기자회견...(+8개 시민단체)
■서울시 어린이집 특별활동의 문제 개선을 촉구하는 8개 시민·보육 단체 연대 기자회견 예고보도(2014.12.10.) 12월 11일(목), 8개 시민단체가 서울시 어린이집 특별활동의 문제 개선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집니다! 공공운수노조보육협의회, 공동육아와공동체교육,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서울보육포럼, 수도권생태유아공동체, 어린이문화연대, 전국장애아동지원교사협의회, 참보육을위한부모연대(가나다순) 등 8개 시민사회단체는 12월 11일(목) 오전 10시 30분,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시 어린이집 특별활동의 문제 개선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실시하고 서울시에 제안서를 제출합니다. 8개 시민사회단체 연합으로 지난 12월 4일 어린이집 특별활동 실태 및 대안 마련 토론회를 통해 관련 실태를 살펴본 결과, 서울시 ..
더보기
[설문결과] 응답자 97%, 영재학교 확대 시행령 개정 반대해...(+총 1,258명 설문결과)
■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 개정에 대한 시민 인식조사 결과보도(2014.12.4.) 영재학교를 유․초․중까지 확대 가능한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 개정에 대해 시민 1,258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 조사 결과, 응답자의 97%가 반대했습니다. ▲교육부가 지난 10월 21일, 영재학교를 지정․설립할 수 있는 학교급을 유치원, 초․중학교로 확대하는 내용의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한 것에 대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하 사교육걱정)은 지난 11월 27일부터 12월 2일까지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 ▲설문응답자 총 1,258명 중, 97%(1,214명)이 시행령 개정에 반대하였으며, 95%(1,189명)가 ‘교육부가 시행령은 개정하지만 학교설립 계획은 없다’고 밝힌 것에 대해 “지켜지지 않을..
더보기
[예고보도] 12/4(목) : '어린이집 특별활동 실태와 대안' 관련 토론회...(+9개단체 연대)
■ 어린이집 특별활동 실태 및 대안 관련 토론회 예고 보도(2014.12.02.) -어린이집 특별활동 이대로는 안된다- 9개 시민단체가 연대하여, 어린이집 특별활동의 현황과 문제, 대안을 살피는 토론회를 가집니다. 공공운수노조보육협의회, 공동육아와공동체교육,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서울보육포럼, 수도권생태유아공동체, 어린이문화연대, 장애아동지원교사협회, 참보육을위한부모연대, 한국여성단체연합(가나다순) 등 9개 시민사회단체는 12월 4일(목) 오후 2시,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사무실에서 ‘어린이집 특별활동 현황과 문제를 살피고 대안을 찾는다’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어린이집 특별활동은 어린이집 안에서 별도의 비용을 받고 이루어지는 일종의 사교육으로, 영유아보육법 제29조에서는 특별활동에 대해 △보호자의 동의를 받은..
더보기
[분석보도] 4대 신문사 ‘교육섹션’ 기사 중 30%, 사교육 홍보성 기사...(+ 분석 자료집)
■ 4개 언론사 교육섹션 기사의 사교육 광고 비율 분석 결과보도(2014.12.02.) 4개 주요 신문사의 교육섹션 기사 중 약 30%가 기사형 광고로 분석되어, 사교육 홍보 실태 정도가 심각했습니다. ▲ 사교육걱정없는세상(약칭‘사교육걱정’)은 조선, 중앙, 동아, 한겨레 4개 언론사 교육섹션의 3개월간 기사를 분석해 사교육 기사형 광고 비율을 계산함. ▲ 전체 교육섹션 기사 211건 중 사교육 기사형 광고는 약 30%(63건)에 달했음. 그 중 조선일보 50건, 동아일보 11건으로, 전체의 96.8%를 차지해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실태가 특히 심각했음. ▲ 기사형 광고 형태로는 ‘사교육 업체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나(50.8%, 32건), 언론사 교육법인 운영 프로그램도 15.9%(10건)를 차지해,..
더보기
[줄세우기 이슈 ③] 전국 고교, 성적 우수생 '특별반' 차별적 우대 심각...(+17개 교육청 실태)
■ 줄세우기 없는 학교 만들기 캠페인 : 성적우수자 특별반 운영 실태 보도 (2014. 11. 30) 17개 시도 교육청은 전국 고교에서 성적우수생들을 따로 모아 각종 차별적 혜택을 제공하는 ‘특별반’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즉각 시정해야합니다. ▲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경쟁 교육 없는 학교 만들기 캠페인’ 전국 20개 지역을 순회하면서, 학교 내 성적 우수생들에게만 학교의 교육 혜택을 차별적으로 제공하는 성적 중심 우열반(특별반, 심화반, 영재반) 실태가 전국적으로 만연함을 확인함. ▲ 서울, 경기를 포함한 전국 15개 교육청 지역에서 성적 우수자만을 위한 국어, 영어, 수학 중심의 우열반 형태의 특별반, 심화반을 운영하고 있음. ▲ 고교안에 ‘핵심인재반, 인재스쿨, 명품반, 국제유학반, 큰빛반, 솔로몬반..
더보기